파이썬 개념 14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⑤ 데이터 타입 2. 불 자료형 / 관계 연산자 및 논리연산자

기본 개념 ​1. 파이썬 변수 ​우리의 코드는 컴퓨터가 연산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컴퓨터가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값'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주지 않으면 " 컴퓨터 ! 이거 계산해봐~ " 라고 말만할 뿐, 무엇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것인지 컴퓨터는 알수 없죠! ​ 여기서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변수'가 하는 역할입니다. 변수를 통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값이 저장될 때 비로소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필수 개념이죠! ​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가 변수 선언이 간편하다는 것인데요, 파이썬은 타입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④ 데이터 타입 1. 수치 자료형 [ int, float, complex]과 군집 자료형 [ str ]

파이썬 변수 ​우리의 코드는 컴퓨터가 연산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컴퓨터가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값'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주지 않으면 " 컴퓨터 ! 이거 계산해봐~ " 라고 말만할 뿐, 무엇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것인지 컴퓨터는 알수 없죠! ​ 여기서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변수'가 하는 역할입니다. 변수를 통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값이 저장될 때 비로소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필수 개념이죠! ​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가 변수 선언이 간편하다는 것인데요, 파이썬은 타입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타입 지정없이..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③ 파이썬 입력(input) 함수

파이썬의 입/출력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과정은 입력 - 저장 - 처리 - 출력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우린 제일 마지막 과정인 '출력'을 알아 봤으니, 오늘은 제일 처음 과정인 '입력' 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파이썬과 입력 (input 함수) ​'입력' 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받는 행위를 뜻합니다. 마우스 클릭, 마이크 등 컴퓨터에 '입력'을 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입력은 '키보드 입력'을 의미합니다. #파이썬 입력 코드 예시 : input 함수를 통해 값을 입력받고, 이를 a라는 변수에 저장 a = input() 위의 기본 예시에서 알수 있듯이 파이썬에서 키보드 입력을 위해서는 두가지 과정이 필요합니다. 1. input( )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② 파이썬 출력문 / 출력 포매팅(formating)

파이썬의 출력하기(print문) 파이썬은 print( ) 함수만으로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 비해 굉장히 단순합니다. 또한 문자열 출력시 큰 따옴표( " ), 작은 따옴표( ' )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큰 따옴표는 큰 따옴표로, 작은 따옴표는 작은 따옴표로 짝을 맞추어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파이썬으로 문자를 출력해 보자! print("Hello, Code univ.") print('Hello, Code univ.') # 결과 Hello, Code univ. Hello, Code univ. #파이썬으로 숫자형을 출력해 보자! print(1, 2, 3) #결과 1 2 3 #파이썬으로 변수를 출력해 보자! a = 1 #int 형태의 변수 b = 'Hi' #Str 형태의 변수 pri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