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공부 13

파이썬 입력받은 숫자만큼 별 출력하기

문제 내용 input 함수로 A, B, C의 값을 숫자로 입력받아서, 각각의 개수만큼 '*'를 출력한다. (단, 10이하의 숫자가 아닌 경우 다시 입력받는다) 문제 풀이 while True: num_a = int(input("A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a >10: continue else: num_b = int(input("B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b >10: continue else: num_c = int(input("C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b >10: continue else: break print("A: ", '*'*num_a) print("B: ", '*'*num_b) print("C: ", '*'*num_c) 코드 결과 A의 숫자를..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⑥ 데이터 타입 3. 군집 자료형 [ list ]

기본 개념 ​1. 파이썬 변수 ​우리의 코드는 컴퓨터가 연산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컴퓨터가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값'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주지 않으면 " 컴퓨터 ! 이거 계산해봐~ " 라고 말만할 뿐, 무엇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것인지 컴퓨터는 알수 없죠! ​ 여기서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변수'가 하는 역할입니다. 변수를 통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값이 저장될 때 비로소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필수 개념이죠! ​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가 변수 선언이 간편하다는 것인데요, 파이썬은 타입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④ 데이터 타입 1. 수치 자료형 [ int, float, complex]과 군집 자료형 [ str ]

파이썬 변수 ​우리의 코드는 컴퓨터가 연산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컴퓨터가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값'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주지 않으면 " 컴퓨터 ! 이거 계산해봐~ " 라고 말만할 뿐, 무엇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것인지 컴퓨터는 알수 없죠! ​ 여기서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변수'가 하는 역할입니다. 변수를 통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값이 저장될 때 비로소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필수 개념이죠! ​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가 변수 선언이 간편하다는 것인데요, 파이썬은 타입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타입 지정없이..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