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19

파이썬 덧셈 퀴즈 프로그램

문제 내용 덧셈퀴즈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한다. 두개의 100~999까지 무작위수가 자동 생성되어 질문을 하면, input함수로 답을 입력받는다. 이때 정답을 맞출때까지 계속하여 질문을 하게 되며, 마지막에 몇번만에 답을 맞추었는지 출력되도록 코딩하시오. 문제 풀이 import random num1 = random.randrange(100,999) num2 = random.randrange(100,999) result = num1+num2 count = 1 answer = int(input(f'{num1} + {num2}의 합은 얼마인가요? ')) while True : if answer == result: print(f"맞았습니다. {count}번만에 맞추었습니다.") break else: answer ..

파이썬 입력받은 숫자만큼 별 출력하기

문제 내용 input 함수로 A, B, C의 값을 숫자로 입력받아서, 각각의 개수만큼 '*'를 출력한다. (단, 10이하의 숫자가 아닌 경우 다시 입력받는다) 문제 풀이 while True: num_a = int(input("A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a >10: continue else: num_b = int(input("B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b >10: continue else: num_c = int(input("C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f num_b >10: continue else: break print("A: ", '*'*num_a) print("B: ", '*'*num_b) print("C: ", '*'*num_c) 코드 결과 A의 숫자를..

파이썬 주사위를 던져 나온 input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기

문제 내용 주사위를 두번 던져 나온 값을 input 함수로 받아, 두수를 합한 값이 8이상이면 '이겼습니다.', 6~7이면 '비겼습니다.', 5이하이면 '졌습니다'를 출력하는 코딩을 하시오. 단, 7이상의 값을 입력하면 다시 질문합니다. 문제 풀이 while True: num_1 = int(input("첫 번째 주사위 수? ")) if num_1 >= 7 : continue else: num_2 = int(input("두 번째 주사위 수? ")) if num_2 >= 7: continue else: break sum = num_1+num_2 if sum >= 8: print("이겼습니다.") elif 6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⑤ 데이터 타입 2. 불 자료형 / 관계 연산자 및 논리연산자

기본 개념 ​1. 파이썬 변수 ​우리의 코드는 컴퓨터가 연산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컴퓨터가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값'이 필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주지 않으면 " 컴퓨터 ! 이거 계산해봐~ " 라고 말만할 뿐, 무엇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것인지 컴퓨터는 알수 없죠! ​ 여기서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변수'가 하는 역할입니다. 변수를 통해 컴퓨터의 메모리에 값이 저장될 때 비로소 컴퓨터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필수 개념이죠! ​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 주어야합니다. 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가 변수 선언이 간편하다는 것인데요, 파이썬은 타입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③ 파이썬 입력(input) 함수

파이썬의 입/출력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과정은 입력 - 저장 - 처리 - 출력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우린 제일 마지막 과정인 '출력'을 알아 봤으니, 오늘은 제일 처음 과정인 '입력' 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파이썬과 입력 (input 함수) ​'입력' 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받는 행위를 뜻합니다. 마우스 클릭, 마이크 등 컴퓨터에 '입력'을 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입력은 '키보드 입력'을 의미합니다. #파이썬 입력 코드 예시 : input 함수를 통해 값을 입력받고, 이를 a라는 변수에 저장 a = input() 위의 기본 예시에서 알수 있듯이 파이썬에서 키보드 입력을 위해서는 두가지 과정이 필요합니다. 1. input( )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② 파이썬 출력문 / 출력 포매팅(formating)

파이썬의 출력하기(print문) 파이썬은 print( ) 함수만으로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 비해 굉장히 단순합니다. 또한 문자열 출력시 큰 따옴표( " ), 작은 따옴표( ' )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큰 따옴표는 큰 따옴표로, 작은 따옴표는 작은 따옴표로 짝을 맞추어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파이썬으로 문자를 출력해 보자! print("Hello, Code univ.") print('Hello, Code univ.') # 결과 Hello, Code univ. Hello, Code univ. #파이썬으로 숫자형을 출력해 보자! print(1, 2, 3) #결과 1 2 3 #파이썬으로 변수를 출력해 보자! a = 1 #int 형태의 변수 b = 'Hi' #Str 형태의 변수 print(a..

[파이썬 독학 개념 정리] | ⓵ 파이썬 소개 및 특징

파이썬 (Python) ​파이썬(Python)은 네덜란드의 프로그래머인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그는 1989년 크리스마스가 있던 주에 자신이 출근하던 연구실의 문이 닫혀 있어서 취미 삼아 파이썬을 만들고, 이후 개발을 거듭하여 1991년에 파이썬을 외부에 공개하게 됩니다. ​ '파이썬'이라는 이름은 귀도가 좋아하는 코미디 〈Monty Python's Flying Circus〉에서 따온 것입니다. ( 참고로 파이썬의 로고 및 아이콘이 뱀 모양인 이유는 python의 원래 뜻이 비단뱀이기 때문! ) ​ 파이썬은 쉽고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고, 다양한 모듈과 라이브러리가 공유되어 인기가 많은 언어인데요, 최근 빅데이터, 머신러닝, AI와 같은 기술..

파이썬 방 평수 계산하기

문제 내용 정사각형 방의 평수를 구하려고 한다. 방의 개수와 한 변의 길이(m)를 정수로 입력받고, 각각 몇 평인지 계산하여 출력하시오. (1 제곱미터는 0.3평으로 계산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첫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문제 풀이 a = int(input('방 개수 : ')) c = 1 result = 0 while c 출력값 [입출력 예시 2] 2 2 result = 1.2 ==>출력값 4 result = 4.8 ==>출력값 나와 어울리는 개발자 유형 찾기 MBTI로 알아보는 개발자 유형 내 안의 개발자를 찾아서...⭐ comu.codeuniv.kr 참고 파이썬 반복문 질문입니다!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파이썬 3의 배수를 찾아 리스트 만들기

문제 내용 1. 사용자가 정수 10개를 화면으로 입력 받아 리스트를 만들어라. 2. 1번에서 만든 리스트를 이용해서 입력한 숫자 중에서 3의 배수를 찾아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라.(for 문을 이용하라.) 풀이 내용 ##### 1번 문제 ##### num_list = [] #반복문 실행 전에 먼저 리스트 생성 for i in range(0,10): num = int(input(str(i+1) + "번째 숫자: ")) num_list.append(num) #append 기능을 통해 생성한 리스트에 입력받은 정수를 넣어줍니다. print(num_list) ##### 2번 문제 ##### new_num_list = [] #3의 배수를 저장할 리스트 생성 for num in num_list: if num % ..